당근의 재배 특성과 특징
본문 바로가기
식자재의 모든것/채소

당근의 재배 특성과 특징

by ๑• ₃•๑ 2020. 6. 5.

 당근의 재배특성과 생리적 특징

 

재배특성(栽培特性)

당근은 산형화과에 속하는 1-2년생 초본으로 중국 북부에서 발달된 동양계와 만추형인 유럽계로 크게 나뉜다. 뿌리의 모양은 원래 길다랗지만 뿌리가 짧고 조생인 유럽계통의 품종이 들어와 형상이나 뿌리의 빛깔, 조만성(早晩性)등에서 변이가 많으며 일년내내 재배되고 있다.

 

당근의 뿌리는 넓고 깊게 분포하는데, 발아 후60-90일경이 뿌리 발달의 최성기로서 이때 뿌리는 폭1-1.5m, 깊이 1.3-1.5m에 이른다. 그리고 굵은뿌리는 발아 30일 후부터 비대하기 시작한다. 70일 후가 되면 비대가 최성기에 도달한다. 뿌리 빛깔은 처음에는 황백색이나 뿌리의 비대와 동시에 착색이 진전되어 본래의 빛깔이 된다. 빛깔은 홍색선홍색등색감색 등으로 나타난다.

추대를 하게 되면 60-90cm의 꽃대가 올라오고 곁가지가 다수 발생하며 이의 끝부분에 산형화서로 꽃이 착생한다. 종자는 갈색의 평평한 타원형이고 털로 덮여 있다.

 

*생육온도

     

최 저 온 도

최 적 온 도

최 고 온 도

종 자 발 아 기

8 ℃

15 ~ 25℃

30 ℃

  

3 ℃

18 ~ 21℃

28 ℃

뿌 리 착 색 기

12 ℃

16 ~ 20℃

-

 

당근의 생육기에 고온은 품질저하에 원인 ; 잎수 12~13매에서 4.5~15℃ 저온에 25~60일 정도 지나면 꽃눈이 분화

*재배적지

양질의 유기물이 풍부한 사질양토, 최적 pH6.0~6.6으로 산성일수록 세포분열이 둔화

 

토양수분은 발아후 본잎 2, 본잎 4~6매 때의 두시기가 가장 많이 필요. 뿌리 비대기때 부터는 약간 건조하는 것이 좋음.

* 생육초기에 건조시는 관수작업이 꼭 필요

*뿌리는 지하 80cm이상, 가벼운 토양은 250cm까지 분포한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깊이 갈이가 매우 중요


 

일반적 생리적 특성

당근은 기원전 10세이게 재배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아프가니스탄이 원산지이다. 중국에는 13-14세기에 전파되었으며 우리나라에는 도입경로가 분명치 않으나 재배역사가 비교적 짧다.

산형화과에 속하는 1-2년생 초본으로 생육적온은 16-18℃ 이며 28℃ 이상에서는 지상부 생육이 감소하며 강한 맛을 낸다. 16℃ 이하 에서는 뿌리가 길고 가늘어 지며, 4-10℃에서 뿌리 신장이 멈춘다.

직경 6mm 이상일 때 10℃ 이하(8-9℃에서 8)일 때 감응하여 화아가 분화하며 장일에 추대된다.

 

토양적정 pH5.5-7.0이며 사양토 유기토등에 자갈이 없으면 매끈하고 곧은 뿌리가 생산된다.

토양견고도는 뿌리 신장에 싶은 영향을 미친다.

좋은 품질과 수량을 높이기 위하여 수분 공급이 필요하다. 수분이 적으면 강하고 강열한 내매가 나고, 과습은 당근색을 연하게 착색시킨다.

 

가공용 당근은 건물중이 증가되도록 수확을 약간 늦춘다.

0-1℃와 고습으로 저장하는 것이 유리하며, 에틸렌 발생물질과(: 사과) 함께 저장하면 저장중 쓴맛이 생기므로 유의한다. 저장시 지상부를 제거하여 양수분의 소모를 방지한다.

과육이 노란색이나 오렌지색인 품종은 카로틴 함량(베타카로틴:β-carotene 70-80%, α-carotene 20-30%)이 많으며, 심부보다 육부가 많다.

 

'식자재의 모든것 > 채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추/부추의 효능  (0) 2020.06.07
시금치/배추/상추의 효능  (0) 2020.06.06
당근의 효능  (0) 2020.06.04
마늘/달래/냉이 효능  (0) 2020.06.03
호박/브로콜리의 효능  (0) 2020.06.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