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차의 제조
발효라 함은 적당한 온도와 습도에서 찻잎 속에 들어있는 탄닌 성분이 산화효소인 옥시디아제에 의해 산화되어 녹색이 누런색이나 붉은 색으로 변하면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독특한 향기와 맛이 만들어지는 과정이다.
발효가 많이 된 것일수록 마른 차는 검붉은 색이 되며 차 탕은 홍색이 진하다. 발효가 적게 된 것은 차탕이 녹황색이나 황금색이다. 녹차는 가열에 의하여 차엽의 효소활성을 실활시키고 성분의 산화를 방지하여 녹색을 가지게한 불발효차로 녹차계열인 엽차, 말차가 이에 속한다. 또한, 제법에 의해 가열에 증기를 사용하는 전차, 옥로, 번차 등의 일본차와 솥에서 덖는 일본부초제 옥록차와 중국 녹차가 있다.
<전차>
-증열 :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증기기관에 도입하고 차엽과 잘 접촉시켜 단시간으로 효율 좋게 가열한다. 차엽 중의 효소활성을 실활 시킴으로써 차엽의 유연성을 증가시켜 이후의 유념조작을 용이하게 하거나 생엽의 청취를 제거시키는 것이 목적인 공정이다.
-조유 : 차엽을 열풍 중에서 교반, 유압 하므로써 차엽 각 부분의 수분을 균일하게 하고 능률 좋게 건조하는 공정이다.
전차의 제조법은 수유제법에 기초를 둔 것으로 손으로 비비는 조작의 기계적 번역이다.
-유념 : 조유공정에서의 비빔부족을 보충하고 차엽의 수분얼룩을 바로잡기 위하여 행한다.
-증유 : 조유와 마찬가지로 열풍에 쪼이면서 비빔공정으로 차의 온도 36℃를 기준으로 설정하지만 차엽의 함수율이 낮은 상태에서 온화한 조건으로 행한다.
-정유 : 전차의 형상인 꼭 바르게 늘어선 모양으로 만드는 공정이다.
-건조 : 열풍이 보내지는 건조실 중을 컨베이어에 차엽을 실어 서서히 이동하여 그 사이에 함수율 5% 정도까지 건조한다.
<옥로 와 연차>
증기열->냉각확산->황건조.본건조->선별->으깨기 건조
<옥록차>
중제옥록차 : 증기열->조유->유념->중유->마무리 재건조->건조
부초제 옥록차 : 덖츤잎->유념->수건->마무리볶음->건조
<전통적인 제조방법>
-잎따기 과정 :찻잎 채취의 포인트는 그 시기에 있다. 곡우 전후 4월 중순부터 5월 말일까지 새순을 일일이 손으로 채엽한다.
-선별 과정 : 선별요점은 노화된 잎, 줄기, 부스러기 등을 잘 골라내는 것이고 가마솥도 잘 씻어 녹차 고유의 향을 유지시켜 줘야 한다.
-덖음 과정 : 녹차맛이 결정되는 과정으로 각 농가마다 비법이 있다. 참나무 장작불로 달군 무쇠솥에서 찻잎을 덖는다.
-유념 과정 : 덖은 찻잎을 멍석에 깔고 손으로 일일이 비빈다. 찻잎을 비벼주는 이유로 차의 모든 성분을 세포막 밖으로 빠져나오게 하여 차 잎을 형성하고 있는 섬유질과 해면질에 부착시키면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건조과정 : 전통 온돌방 방식을 재현한 황토방 시스템에서 4시간 가량 잔존 수분을 제거한다. 건대된 잎은 저장에 들어가는데 수분함량을 3~4%정도로 유지해야 한다.
-마무리 과정: 백탄 숯불에 달군 무쇠 솥에 건조된 찻잎을 넣고 숙성한다.
-포장 과정 : 제조가 완료된 찻잎을 엄격한 검사과정을 거친 청결한 상태에서 포장하여 반출한다.
5.노인성 치매 효과
뇌로 통하는 혈관을 일시적으로 묶으면 뇌혈류가 차단되어 뇌 부위중 기억,학습에 가장 중요한 생리기능을 담당하는 뇌노직 부위가 죽게 된다. 또한 뇌혈관 장애로 일어나는 학습행동장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홍삼이 혈관성 치매를 비롯한 뇌경색의 진전개발에 대해 유효하다고 발표하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