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
본문 바로가기

안녕하세요 ;D50

양파의 재배 양파의 재배 온도 : 생육온도(12~20도) 일조시간 : 11~16시간 토양 : 강가의 비옥한 충적토 (PH6.3~7.3) 수확 : 주로 6~7월에 잎이 쓰러지고 연녹색이 될 때 파종시기 : 8월중~9월상순 묘상면적 : 50㎡/10a 파종량 : 5~6㎗/10a 짚피복 : 발아후 제거 비가림 : 발설치 관수 : 수시관리 솎음질 : 1~2회 실시 정식시기 : 10월 정식거리 - 줄사이 24~30cm - 포기사이 12~15cm 우량묘 정식 제초제 살포 : 정식후 중경 : 1~2회 실시 관수 : 정식후 및 구비대기 수확적기 - 출하용 : 70~80% 도복시 - 저장용 : 50~60% 도복시 맑은 날 수확 1~2일간 밭에서 건조 양파재배 및 생산동향 - 양파재배생산량은 국내 수요량 증가로 지속적으로 늘고 특히 '.. 2020. 7. 7.
양파 효능 양파의 효능 - 피로 회복과 스태미나 양파효능은 칼슘과 철분이 풍부해 강장 효과가 있다. 또한 양파 속에 비타민B1의 흡수를 촉진하는 성분이 있어 양파를 곁들여 먹으면 음식에 들어 있는 비타민B1의 흡수가 잘 되어 신진대사가 활발해지면서 피로가 풀리고 스태미나도 좋아진다. 양파효능에 허약 체질이나 신경쇠약, 원기 회복이 필요한 환자의 식사로도 좋다. - 콜레스테롤 분해, 혈압 낮춤 양파효능은 콜레스테롤을 분해하며 겉껍질에 들어 있는 양파효능중 강력한 항산화 작용으로 혈관 벽의 손상을 막아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혈관의 확장과 수축을 원활하게 한다. 양파효능은 이처럼 혈액과 혈관의 상태를 개선해 고혈압과 동맥경화, 고지혈증을 예방하고 치료하며 미세한 모세혈관을 강화시키는 작용도 한다. - 당뇨병 예방, 치료 .. 2020. 7. 6.
콩 재배 콩이란??? 콩 속의 리드산은 잠재적 발암성 물질의 생성을 억제한다. 콩은 각종 실험결과 재래식 된장이 항암 및 항발암성을 갖고 있어 암 예방 및 항암효과가 있으며 암에 걸렸을 때에도 약화되는 간 기능을 활성화 시켜준다는 실험결과가 나왔다. 그는 또 사람의 위암세포와 결장암 세포를 이용한 항암효과 실험에서도 된장에서 추출되는 리놀레산이 이들 세포의 성장을 현저히 저지하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일부에서도 암과 음식의 상관관계, 즉 어떤 음식을 먹어야 암에 걸릴 확률이 낮아지느냐를 조사한 바 있다. 조사결과 선두주자는 콩으로 만든 된장국이었다. 매일 된장국을 먹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암 발병률이 30%정도 낮아졌다. 예전, 그 집의 음식 맛을 평가하는 기준은 간장과 된장이었다. 그래서 우리의 어머.. 2020. 7. 5.
콩 영양효능(콩효능영양) 콩의 유래 콩은 야생의 들콩(덩굴콩)으로부터 재배작물로 발달되었다고 한다. 콩의 원산지는 만주 남부지방이다. 그곳은 야생콩의 자생 지역이면서 야생콩, 중간콩, 재배종의 각형이 가장 많은 곳으로 보인다. 만주 남부는 본래 맥족의 발생지로 고구려의 옛 땅이다. 결국 우리나라가 콩의 원산지가 되는 셈이다. 옛날 서적인 '삼국유사'나 '신농잡기'같은 책에 콩이 나오는데 그러한 것들을 보아 콩이 식용으로 재배된 역사는 매우 오래 되는데, 중국에서는 4000년 전부터 재배되었고, 한국에서는 삼국시대 초기(BC 1세기 초)부터 재배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렇게 콩은 오래전부터 우리네 생활에 곡식의 일종으로 오곡에 들어, 주식용이 아니라 부식용으로 많이 쓰였다. 콩의 영양 콩은 '밭에서 나는 쇠고기'로 불릴 만큼 단백.. 2020. 7. 4.
콩의 성분 콩의 성분 칼슘과 단백질, 혹은 인과의 비율은 중요한 점을 시사하는데 칼슘은 뼈나 치아는 물론 정신을 안정시켜주는 작용도 합니다. 콩은 인체가 필요로 하는 영양과 기운의 균형이 맞아서 면역력을 강하게 할 뿐 아니라 당질이나 철분도 넉넉하여 에너지원으로도 훨씬 낫다. 채식가들에게 부족하기 쉽다는 필수아미노산은 콩성분을 충분히 섭취한다면 그 질도 육류보다 훨씬 낫다. 비타민 종류가 조금 적긴 하지만 그것은 야채나 과일로 넉넉하게 보충되는 콩성분이며 육류의 비타민과 달리 체내흡수가 아주 잘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또 콩성분에는 섬유질이 들어있어서 체내에서 콩 대사산물로 나오는 독소를 모두 흡착하여 배출되게 하는 작용이 있지만 동물의 고기엔 그런 것들이 전혀 없고, 또 식물 속에 든 섬유질을 섭취하더라도 육.. 2020. 7. 3.
콩의 종류 콩의 종류 우리가 주요 식품으로 여기는 콩은 그 종류가 현재 50 여 가지에 이른다. 우리네 식탁에 주로 오르는 콩은 메주콩, 검정콩, 밤콩, 청태, 완두콩, 강낭콩, 얼룩이콩 같은 것들이다. 콩은 흔히 용도에 따라 고추장, 된장, 간장 등을 담그는 데 쓰는 장류콩, 콩나물로 키워 먹는 콩나물콩, 밥에 두어 먹는 밥밑콩, 그리고 밭에서 갓 따낸 풋콩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콩은 다른 콩과식물과 마찬가지로 뿌리혹박테리아를 갖고 있어 질소 비료를 따로 주지 않아도 되므로 재배하기가 그만큼 수월하다. 그래서 넓은 면적에 심기도 하는 반면, 논두렁이나 밭두렁 같은 데에 대충 심기도 하고, 옥수수나 과일나무 같은 다른 것들의 사이사이에 가꾸기도 한다. 풋콩 외에는 거의가 콩잎이 말라 떨어지기 시작하고 꼬투리 속.. 2020. 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