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6 Page)
본문 바로가기

안녕하세요 ;D50

녹차의 주요성분(2) 녹차의 주요 성분 -탄닌의 기능 카테킨은 차의 떫은 맛을 내는 성분으로 탄닌이라고도 한다. 차의 탄닌은 커피의 탄닌산이나 클로르겐산, 떫은 감의 탄닌과는 성분이 다르기 때문에 polyphenol(Polypheno)이라고도 부르고 있다. 탄닌은 6종류의 카테킨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의 주성분인 catechins는 성인병 예방과 암 예방에 관계한다는 여러 효능이 입증되었고,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바이러스와 충치 세균에 대해서도 강한 살균능력을 가지고 있는 성분이기도 하다. 또한 차의 카테킨 성분의 항산화 효과는 비타민E에 비해 무려 50배나 된다. 이러한 차의 활성산소제거 효과를 이용해 유럽이나 일본에서는 차의 카테킨을 첨가시킨 화장품이 붐을 이루고 있는데 차를 많이 마시는 항주 여인들의 얼굴이 희고 .. 2020. 6. 13.
녹차의 주요성분(1) 녹차의 주요 성분 녹차의 생엽은 약 75~80%가 수분이고 나머지는 고형분인데 이 고형분의 40%는 물에 녹는 수용성 성분이고 나머지는 불용성 물질이다. 불용성 물질의 주요성분으로는 셀룰로오스, 단백질, 펙틴과 같은 세포를 구성하는 물질과 전분 등의 저장물질이 있으며, 물에는 녹지 않으나 에테르나 알콜에 잘 녹는 지용성물질로서는 각종 향기성분과 엽록소, xanthophyll, Vit. A, Vit. E 그리고 소량의 지방산과 지질이 있다. 또한, 녹차잎에는 여러 가지 당성분과 전분, 셀룰로오스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건조물로 환산시 유리당은 5~10%, 전분은 1~4%, 펙틴은 3~13%, 조섬유는 9~16%가 있으며, 기타 다당류가 4~10% 함유되어 있다. 이들 유리당은 차광에 의해 크게 감소되.. 2020. 6. 12.
파프리카 품종 및 파프리카 구별법 파프리카상식 고추에는 피망, 콘고추, 칠리고추, 체리고추, 레드클러스터고추 그리고 긴고추 등의 6가지 종류로 나누는데 우리는 매운 맛이 강한 콘고추와 칠리고추를 개량 육성해서 이용한다. 우리가 흔히보는 고추가 녹색에서 익으면 점차 빨강색으로 변하듯이 파프리카도 녹색에서 열매가 익을수록 점점 빨강이나 주황색계열로 색이 익어간다. 재배방법 -파프리카를 고를 때는 고유의 색상이 선명하고, 너무 휘거나 변형되지 않은 약간 통통하면서 반듯한 모양인지 살펴보고, 꼭지 부분이 마르지 않고 겉에 흠집이 없고 윤기가 나며 골 사이에 변색이 없는 것으로 고른다. -유럽에서는 파프리카를 재배할 때 대체로 10월 하순에 파종, 1월 상순부터 수확하기 시작하여 11월까지 생산하고, 우리나라는 8월에 파종하여 12~7월에 수확하.. 2020. 6. 11.
파프리카 특성 및 파프리카 재배 형태 및 생태 -파프리카는 외관적으로 우리가 기르는 고추묘와 유사한데 잎이 다소 크고 단엽이며 엽병의 길이가 0.5~2.5cm이다. 또한 잎의 모양은 달걀모양이고 잎가장자리는 편편하다. 열매의 모양은 가늘고 긴 것부터, 원통형, 단원통형, 원추형까지 다양하며 크기도 3g정도인 것부터 300g정도인 것까지 있다. 식물의 초장(길이)은 0.5~1.5m에 달하며 줄기의 아랫부분은 목질화 되어 저목(低木)의 형상을 이룬다. -꽃은 여름에 흰빛으로 피고 지름 1~1.5cm이다. 열매는 사자머리 모양으로 대형인데 길이 5~7cm, 너비 4cm정도이고 몇줄의 세로 홈이 있다. 과육은 두께 5mm정도이고 속이 비어있다. 종자는 황백색으로 납작하며 길이 3~4mm, 폭 2~3mm, 두께 0.5~1mm이다. 1g의 종자수.. 2020. 6. 10.
파프리카의 유래 및 파프리카의 효능 파프리카의 역사 -파프리카의 역사는 고추의 재배 역사와 비슷하다. 라틴 아메리카가 원산지이기 때문에 페루에서는 200년 이상 된 폐허에서 각종 고추의 흔적이 발견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1614년 광해군 6년에 일본에서 고추가 전래됐는데, 파프리카는 최근 도입되어 5~6년 전부터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수요가 많지 않아 수확량의 60% 정도는 일본으로 수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파프리카는 채소류중 열매를 먹는 과채류에 속하며 흔히 볼 수 있는 피망과 같은 식물이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피망은 녹색과 빨강색 두가지인데 이 외에도 주황색, 노랑색, 자주색, 백색 등 다양한 색을 가지고 있다. 이들 중 녹색과 빨강색을 제외한 나머지 색을 가진 것들을 피망과 구분해서 유색피망 혹은 파프리.. 2020. 6. 9.
파프리카 원산지 파프리카란?? -특별한 고추 품종의 씨를 빻아서 만든 향기로운 향신료. -단맛이 많고 아삭하게 씹히는 육질의 맛이 좋아 샐러드에 많이 이용하는 파프리카는 풍부한 영양과 아름다운 색상으로 채소류의 보석이라 불린다. -헝가리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으므로 헝가리고추란 이름도 있다. 또 피멘타 ·피멘토라고도 한다. 맵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구미에는 아주 매운 것과 은근히 매운 것도 있다. 맵지 않은 파프리카는 과육으로 만든다. 열매 전체를 가루로 만들 경우 더욱 매운 것을 얻을 수 있다. 매운 성분은 캡사이신이고 빨간 것은 카로틴이며 비타민의 공급원으로 유용하다. 각종 음식물에 첨가하는 등 용도가 넓다. 샐러드드레싱 ·생선 ·쇠고기 ·닭고기 등의 수프, 계란요리 ·채소요리 ·케첩 ·칠레소스 등의 조미료를 만드.. 2020. 6. 8.